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교육과정은 핵심 교육과정(Core-Curriculum)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1) 핵심 교육과정이란 학교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내용을 선정하여 그것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학습자의 입장을 고려하는 학생 맞춤형, 또는 학생 주문형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것도 고려할 만하다. (160)

~교사가 교육과정을 상호조정 및 생성해서 실행할 수 있는 조건을 실질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 편성에 대한 자율권을 교사에게 주어야 한다. 2)(161)

~국가와 지역교육청에서는 이 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학교 교육과정을 그 전 해에 수립하여 제출하도록 하고, 거기에 따른 재정지원을 하여 다음해 교육에 차질이 없도록 한다면 큰 혼란 없이 학생 맞춤형, 또는 학생 주문형 교육과정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161)

-->학교교육과정을 해당년도 전에 마무리짓는게 가능한가?

--> 학생 맞춤형, 또는 주문형 교육과정을 운영하도록 하는 국가, 학교, 교사 역량이 되는가?

 

박기용,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초등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 방향에대한 시고, 국제언어문학 제41호, 2018. 12

1) 조난심,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 교육비평39집, 교육비평, 2017,338면

2) 이윤미, 조상연,정광순, 교육과정 실행 과정 국내 연구에 대한 문제제기, 교육과정연구, 33권 3호, 한국교육과정학회, 2015, 85-96면

Posted by 주인공을찾는아이
,

구비문학을 제외한 한국 고전 문학은 하나같이 기록 자료를 연구대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이 시공간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그에 비해 입에서 입으로 전승되는 구비문학은 시공간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 유동적인 것이다. 구비 문학은 과거의 문학이면서 현재의 문학이면서 미래의 문학인 것이다. 그과정에서 이전의 작품이나 갈래가 지속되지만 새로운 작품이나 갈래가 생겨나기도 한다. 1)(10)

최원오(2019), 옛이야기의 활용과 새로운 가능성 옛이야기와 동화의 아름다운 이별과 재회를 위해,아동청소년문학연구(25), 7-60

1)최원오, 구비전승의 현재와 미래, 한국문화인류학 41-2, 한국문화인류학회, 2008, 187-224면

Posted by 주인공을찾는아이
,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한 총체적인 학습을 위한 접근 방식

 

'바탕 익히기'는 과제 해결학습을 하기 전에 국어과 역량과 관련된 해결 과제에 대하여 놀이식 지도로 알아야 할 내용을 미리 학습하여 '준비'하고 '주제'선정과 관련된 문제점을 미리 검토하도록 한다. '과제 해결하기'에서 전체 주제와 관련하여 타 교과와 융합하여 학습자(팀)가 자기 주도적으로 과제를 해결하도록 하되, 국어과에서 다루어야 할 과제를 각 팀별로 역할 분담하고 전체적으로 다른 교과 과제와 연계하여 다시 통합하는 활동을 수행하도록 한다.(155)

'바탕 익히기'는 과제 해결의 준비, 주제 선정 등 국어 교과 내용이 전체 주제 아래서 어떤 과제를 수행해야 하는가에 대해서 필요한 내용을 흥미롭게 지도하고, '과제 해결하기'는 타 교과와 통합 또는 융합하여 선정한 주제 아래서 각자 팀별로 담당해야 하는 과제 해결과정을 수행한다. 그 내용은 생활에서 일어나는 문제 상황을 해결하는 활동이 된다.(164)

한편 같은 방식(준비-과제(주제)선정(바탕익히기)//-진행-산출물 완성 및 발표-평가(과제해결하기)으로 지도하되 학습할 핵심 요소를 추출하여 이를 중심으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할 수 있다.1) 이상의 지도방법은 학생들 간의 협업능력을 길러주고, 온.오 프라인(On-Off line)으로 소통하고 대인관계를 개선할 수 있으며, 단순 지식 습득에서 벗어나 여러 교과 영역과 관련된 통합 내지 융합 교육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차원적 학습을 경험할 수 있다. 특히 자신이 생각한 아이디어를 적용하여 검증할 수 있는 측면에서 비판적, 창의적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2) (164)

 

박기용,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초등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 방향에대한 시고, 국제언어문학 제41호, 2018. 12

1) 신재한,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생태체험 프로젝트 학습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2014, 46-74면

2) 박기용, 2015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수 학습 방법, 월인, 2018, 325

Posted by 주인공을찾는아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