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은유적 의사소통 수단으로써 활용된 경우. 옛이야기 역시 여타의 문학 갈래처럼 작 작품마다의 주제가 있다. 그래서 현실적 상황에 부합하는 옛이야기를 얘기해줌으로써, 특정의 현실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12) 은유적 메시지가 전달될 수 있다.~
둘째, 옛이야기의 모티프가 고전소설에 활용된 경우. 옛이야기의 모티(13)프가 고전소설에 수용된 경우는 헤아릴 수 없이 많다.
~옛이야기의 활용 및 고전 소설의 형성이라는 양면에서 주목할 만한다. 고전소설은 그 형성 과정에서 옛이야기의 모티프, 서사구조 등을 가져왔지만 거기에 갈래적으로 종속되지 않고, 옛이야기와는 전혀 다른 독자적 서사로써 성장해 나갔기 때문이다.(16)
~옛이야기가 어떻게 활용되었는지를 살펴보았는데, 이러한 활용은 현재 여러 분야에서 지속되고 있다고 판단된다. 예컨대, 첫 번째(18)로 살핀 경우와 유사한 예를 옛이야기를 활용한 자기서사 진단, 옛이야기(동화 포함)을 활용한 상담, 옛이야기를 활용한 다문화교육, 옛이야기를 활용한 언어교육1)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옛이야기를 목적이 아니라 수단으로써 삼는다는 점에서 유사성이 간파된다. 두번째로 살핀 경우도 마찬가지다. 옛이야기는 고전소설의 형성과정에서 모티프 단위이건 각편 단위이건 어떤 식으로건 활용되면서 영향을 끼쳤다. 그러면서 옛이야기는 옛이야기대로, 고전소설은 고전소설대로 각자의 갈래적 특성을 유지하여 왔다. 옛이야기와 고전소설은 매우 닮았으면서도 다소 다른 지점에 위치하여 있는, 소위 경쟁하는 형제(rival sibling)였다고 할 수 있다.(19)
그런데 옛이야기의 이러한 활용 양상은 근현대에 이르면서 더 다양한 서사 갈래들이 생겨나고, 또 그것을 전달하는 매체가 라디오, 텔레비전, 영화, 애니메이션, 오페라, 웹툰 등으로 다변화됨에 따라 활용의 범위가 더욱 광범위해지며 복잡해지고 있다. 몇 작품은 예외이지만, 고전소설에서 파악되는 옛이야기의 활용이 비교적 단순했다면 지금 이 시대의 몇몇 분야에서의 옛이야기 활용은 대단히 창의적으로 이뤄지고 있다.옛이야기의 단순한 활용을 넘어서고 있으므로, 그 지점에 대해 본격적으로 논의해야 할 시기가 도래했다.(20)
최원오(2019), 옛이야기의 활용과 새로운 가능성 옛이야기와 동화의 아름다운 이별과 재회를 위해,아동청소년문학연구(25), 7-60
1) 대표적인 저서는 다음과 같다. Eric K. Taylor, Using Folktales, Cambrige University Press, 2000. 한국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름으로 번역되었다. 스토리텔링. 이야기활동 전래동화와 언어교육(이희숙, 엄해영, 이노경 역, 한국문화사, 2007) 최근의 한국 초등국어교과서에서 옛이야기를 다루는 방식도 이와 유사하다. 그러다보니 제재로 수록한 옛이야기의 내용이나 맥락은 중요하게 고려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
'논문에 밑줄 긋기 > 옛이야기의 활용과 새로운 가능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옛이야기 활용의 새로운 가능성 (0) | 2021.01.19 |
---|---|
새로운 가능성 옛이야기의 길, 동화의 길 (0) | 2021.01.18 |
전래동화라는 용어를 계속 사용해 온 이유는 무엇일까? (0) | 2021.01.18 |
교육과정별 옛이야기 지칭 (0) | 2021.01.18 |
구비문학은 현재이다 미래의 문학 (0) | 2021.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