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에 밑줄 긋기/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초등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 방향에대한 시고'에 해당되는 글 3건

  1. 2021.01.18 4차 산업혁명시대의 교육과정은
  2. 2021.01.14 미래 사회에 필요한 교육내용과 총체적인 학습을 위한 접근 방식
  3. 2021.01.14 4차 산업혁명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교육과정은 핵심 교육과정(Core-Curriculum)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1) 핵심 교육과정이란 학교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내용을 선정하여 그것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학습자의 입장을 고려하는 학생 맞춤형, 또는 학생 주문형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것도 고려할 만하다. (160)

~교사가 교육과정을 상호조정 및 생성해서 실행할 수 있는 조건을 실질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 편성에 대한 자율권을 교사에게 주어야 한다. 2)(161)

~국가와 지역교육청에서는 이 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학교 교육과정을 그 전 해에 수립하여 제출하도록 하고, 거기에 따른 재정지원을 하여 다음해 교육에 차질이 없도록 한다면 큰 혼란 없이 학생 맞춤형, 또는 학생 주문형 교육과정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161)

-->학교교육과정을 해당년도 전에 마무리짓는게 가능한가?

--> 학생 맞춤형, 또는 주문형 교육과정을 운영하도록 하는 국가, 학교, 교사 역량이 되는가?

 

박기용,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초등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 방향에대한 시고, 국제언어문학 제41호, 2018. 12

1) 조난심,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 교육비평39집, 교육비평, 2017,338면

2) 이윤미, 조상연,정광순, 교육과정 실행 과정 국내 연구에 대한 문제제기, 교육과정연구, 33권 3호, 한국교육과정학회, 2015, 85-96면

Posted by 주인공을찾는아이
,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한 총체적인 학습을 위한 접근 방식

 

'바탕 익히기'는 과제 해결학습을 하기 전에 국어과 역량과 관련된 해결 과제에 대하여 놀이식 지도로 알아야 할 내용을 미리 학습하여 '준비'하고 '주제'선정과 관련된 문제점을 미리 검토하도록 한다. '과제 해결하기'에서 전체 주제와 관련하여 타 교과와 융합하여 학습자(팀)가 자기 주도적으로 과제를 해결하도록 하되, 국어과에서 다루어야 할 과제를 각 팀별로 역할 분담하고 전체적으로 다른 교과 과제와 연계하여 다시 통합하는 활동을 수행하도록 한다.(155)

'바탕 익히기'는 과제 해결의 준비, 주제 선정 등 국어 교과 내용이 전체 주제 아래서 어떤 과제를 수행해야 하는가에 대해서 필요한 내용을 흥미롭게 지도하고, '과제 해결하기'는 타 교과와 통합 또는 융합하여 선정한 주제 아래서 각자 팀별로 담당해야 하는 과제 해결과정을 수행한다. 그 내용은 생활에서 일어나는 문제 상황을 해결하는 활동이 된다.(164)

한편 같은 방식(준비-과제(주제)선정(바탕익히기)//-진행-산출물 완성 및 발표-평가(과제해결하기)으로 지도하되 학습할 핵심 요소를 추출하여 이를 중심으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할 수 있다.1) 이상의 지도방법은 학생들 간의 협업능력을 길러주고, 온.오 프라인(On-Off line)으로 소통하고 대인관계를 개선할 수 있으며, 단순 지식 습득에서 벗어나 여러 교과 영역과 관련된 통합 내지 융합 교육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차원적 학습을 경험할 수 있다. 특히 자신이 생각한 아이디어를 적용하여 검증할 수 있는 측면에서 비판적, 창의적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2) (164)

 

박기용,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초등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 방향에대한 시고, 국제언어문학 제41호, 2018. 12

1) 신재한,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생태체험 프로젝트 학습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2014, 46-74면

2) 박기용, 2015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수 학습 방법, 월인, 2018, 325

Posted by 주인공을찾는아이
,

이 산업혁명의 목표는 디지털과 물리적, 생물학적 영역의 경계를 없애고 각 기술을 융합하는 것1)이라고도 하고, 사이버 물리시스템(CPS: Cyber Physical System)기술을 토대로 탄생한 산업혁명2)이라고 한다.(147)

~ 4차 산업혁명의 핵심 키워드는 융합과 연결이다.

 

이런 시대를 상상한다면 지금 2015 교육과정에서 시행하고 있는 분절적인 지식, 기능 위주의 내용과 지도방법은 탈피해야 한다. 그것보다는 자기 주도적 역량이 중요할 것이고, 창의적인 과제 해결 역량이 필요할 것이며, 이런 능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팀 구성원과 소통을 기반으로 협력학습 역량을 길러야 한다. (148)

 

이러한 예측을 감안하면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교육은 IT와 AI 산업시대에 적합한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관건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시대 변화에 부응하는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교육내용과 방법에서 지금과 다른 혁신을 이루어야 한다. 그것은 암기하는 공부보다 무언가를 만들고 과제(주제)를 해결하는 교육으로 바뀌어야 한다. 이런 교육 아래 학습자에게 비판적 사고, 소통 능력, 협업 능력을 갖추고 창의력 있는 인재를 키워야 한다.3) 그밖에도 새로운 상황에 잘 적응하는 사람4)과 자기 감성을 표현하는 사람이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인재라고 할 수 있다. (150)

 

박기용,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초등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 방향에 대한 시고, 국제언어문학(41), 2018, 145-170

 

1) 원동규, 이상필, 인공지능과 제4차 산업혁명의 함의, le 매거진 23(2), 대한산업공학회, 2016, 13면

2) 조난심,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 교육비평 39집, 교육비평, 2017, 331면

3) 김진형, 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 시대의 교육, STSS 지속가능 과학회 학술대회 발표지, 지속가능과학회, 2016, 21면

4) 조난심, 앞의 논문, 334면

 

Posted by 주인공을찾는아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