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주된 이유는 아동문학가들이 '전래동화'를 특정의 근대적 문학 현상 또는 문화 현상을 규정짓기에 적절한 용어로써 이해한 데 있지 않은가 한다. 용어데 대한 고민보다는 주목할 만한 문학/문화 현상을 설명하려는 데 더 초점이 있었다고 판단되는 것이다. 또다는 이유는 교육계, 특히 초등교육계에 종사했던 연구자들의 견해이다.(물론 교육, 논문지도도 포함될 것이다.)(21)
~장덕순의 견해(1972): 동화는 애체오는 신화나 전설에서부터 발달했다.~ 그러나 엄격히 규정하면 전래동화는 예로부터 전해오는 동화, 곧 구전이건 기록에 의한 것이건(21) 모두 통칭하는 개념~
이재철의 견해(1983): 메르헨이나 민화는 구전되거나 또는 문자로 정착되어서 전래해 오고 있는데, 그 가운데서 아동에게 적합한 이야기를 가리켜 우리는 흔히 전래동화 또는 구전동화라고 부르고 있는 것이다.~전래동화는 그것이 가지는 메르헨적인 성격상 줄거리 전체가 어떠한 마법이나 불가사의한 인과관계에 의해서 지배되고 있는 경우가 많고, 그 구성에 있어서 반복, 대비적인 것이 많으며, 권선징악적. 교훈적 요소가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
손동인의 견해(1984): 전래동화는 한마디로 말해서, 민갈 설화의 분신이라 할 수 있다.~민간 설화가 신화. 전설. 민담을 거느리듯이, 전래(22)동화도 역시~쉬 긍정이 되리라 믿는다.
최운식.김기창의 견해(1988): 전래동화는 옛날부터 전해 오는 이야기 주에는 신화. 전설. 민담 등의 민간 설화가 있는데~ 동심을 그 바탕에 깔고 있는 이야기가 전래동화이다.
~핵심 견해는 세 가지다. 첫째, '전래동화란 옛날부터 전해 온 것(문헌 전승, 구비 전승 모두 포함)으로 동심을 그 바탕에 깔고 있는 이야기'라는 점이다. 둘째, '전래동화는 설화의 일부, 또는 분신'이라는 점이다. 셋째, '전래동화는 (문헌, 구비)설화의 성격과 일치하는 이야기'라는 점이다. 첫째는 전래동화라는 용어의 개념을, 둘째는 전래동화의 근원 내지는 출처를 셋째는 전래동화의 성격을 규정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동일한 대상임에도 설화로 지칭하는 것이 합당한지, 전래동화로 지칭하는 것이 합당한지의 의문이나 논쟁은 아예 없고, (구비, 문헌) 설화는 또한 전래동ㄹ화로도 규정할 수 있다는 데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이다.그런데 사실 이들 연구자들의 견해는 이전 시(23)기인 일제강점기부터 쭉 이어져 온 관행, 즉 구비설화 및 문헌설화를 전래동화라고 보았던 문화적 관행을 계승한 것이어서 새삼스럽지 않다.
현재 확인된 바에 의하면, '전래동화'라는 용어는 1930년 11월 14일자 매일신보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1922년 방정환(1899-1931)이 잡지 개벽을 통해 구비 전승되어 온 조선 설화를 모집하기 위해 냈던 광고에서는 '고래동화'라고 했고, 또 주요섭(1902-1972)이 개벽 제 28호에 수록했던 해와달은 '우리동화'라고 지칭했던 것인데~이후부터는 용어 사용에 대한 별 논란없이 '전래동화'로 단일화된 것으로 보인다.
최원오(2019), 옛이야기의 활용과 새로운 가능성 옛이야기와 동화의 아름다운 이별과 재회를 위해,아동청소년문학연구(25), 7-60
'논문에 밑줄 긋기 > 옛이야기의 활용과 새로운 가능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옛이야기 활용의 새로운 가능성 (0) | 2021.01.19 |
---|---|
새로운 가능성 옛이야기의 길, 동화의 길 (0) | 2021.01.18 |
교육과정별 옛이야기 지칭 (0) | 2021.01.18 |
과거의 옛이야기의 활용 (0) | 2021.01.18 |
구비문학은 현재이다 미래의 문학 (0) | 2021.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