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지영 교수의 언어감수성 수업'을 처음 접했던 것은 아내가 유튜브에서 '신지영 교수의 언어감수성 수업' 관련한 동영상을 보고 흥분하며 강추했을 때였다. 정확하진 않으나 꼭 읽어보고 싶었던 책이 되었다.
언어감수성, 낯설지만 낯설지 않은 말이었다.
언어가 인간이 사회를 이루며 정보를 습득하고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하며 타인과 관계 맺음하며 살아가는데 필요한 도구라면 감수성은 그 도구를 어떻게 잘 사용해야 정보를 잘 습득할 수 있고 관계맺음을 잘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감각이라고 생각했다. 특히 사람들과의 관계 맺기에 어려움을 느끼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필요한 게 언어감수성이다. (물론, 사회성이 좋은 사람이라 여겨지는 사람도 정말 그런지 이 책을 읽고 느낄 것이 많다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읽기 시작했던 '신지영 교수이 언어감수성 수업'은 기대가 컸던 것에 비해 아쉬운 부분이 많았다. 분명 어떠한 사실이나 사례를 충분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었을테지만 했던 이야기를 또 하는 듯한 예시가 많았다. 톺아보기라며 자세히 설명해주는 부분이 그랬다. 심한 경우에는 동어의 나열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개인적으로 이 책이 언어감수성에 대한 개론서와 같은 책이길 바랬다. 언어감수성이 무엇인지 알려주고 왜 필요한지 어떻게 언어감수성을 키울 것인지 그 커리큘럼은 무엇인지가 나와 있는 개론서 말이다. 하지만 이 책은 언어감수성에 대한 탐구보다는 언어감수성이 부족한 사회에서 나타나는 현상들을 집어보고 그 현상들이 바로 언어감수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이라며 알려준다. 그래서, 이 책은 언어감수성이 중요하다고 느끼고 어떻게 키워야 할까 생각되어지는 사람들에게 입문서와 같은 거라고 생각한다. 이제 비로소 언어감수성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이기 위한 첫걸음이라 생각하면서 말이다.
'책읽기를 마치고(세줄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국은 그들도 사람이다 (0) | 2021.02.13 |
---|---|
결국은 읽고 쓰기의 연속이다 (0) | 2021.02.11 |
꼰대는 되지 말아야지 (0) | 2019.07.26 |
힘 약한 무리가 거친 세상에서 살아가는 법 (0) | 2018.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