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언어적 내러티브와 시각적 내러티브가 같다는 것을 함축하지는 않는다. 러시아 기호학자 유리 로트만은 이 점에서 유익한 예시를 들고 있는데, 그는 문학과 같은 언어 예술은 개별적 요소들(단어나 어구들)이 그 자체로 독립적인 의미의 단위인 반면, 표상적이거나 회화적인 예술은 하나의 단절된 전체 단위로 존립함으로써 의미를 실현한다고 한다.(Lotman 1977) 반면에 음악은 개벌적 요소나 단절도 아니고 오직 시퀀스 그 자체로만, 그리고 영화, 텔레비전, 비디오는 다시 또 다른 방식으로 이 특징들을 조합하여 의미를 실현한다고 한다.
- 내러티브, 폴 코블리, 19쪽 -
'책에 밑줄 긋기 > 내러티브(폴 코블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러티브는 공간과 시간을 갖고 있다 (0) | 2016.03.29 |
---|---|
기호는 인간 세상을 재현한다 (0) | 2016.03.29 |
묘사되는 바가 무엇인지를 선택하는 행위 (0) | 2016.03.28 |
이야기 플롯 그리고 내러티브 (0) | 2016.03.27 |
내러티브에 나타난 '의미' 탐구 3가지 접근법 (0) | 2016.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