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움'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21.01.29 이제마
  2. 2019.02.12 노는 교육이 중요

도로시 라는 미국의 교육학자는 '아이들은 사는 것을 배운다'라는 유명한 시를 남겼습니다.~

만일 아이가 나무람 속에서 자라면 비난을 배웁니다.
만일 아이가 적개심 속에서 자라면 싸우는 것을 배웁니다.
만일 아이가 비웃음 속에서 자라면 부끄러움을 배웁니다.
만일 아이가 수치심 속에서 자라면 죄의식을 배웁니다.
만일 아이가 관대함 속에서 자라면 신뢰를 배웁니다.
만일 아이가 격려 속에서 자라면 고마움을 배웁니다.
만일 아이가 공평함 속에서 자라면 정의를 배웁니다.
만일 아이가 인정 속에서 자라면 자기 자신을 좋아하는 것을 배웁니다.
만일 아이가 맏아들임과 우정 속에서 자라면 세상에서 사랑을 배우게 됩니다.(5)~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사는 것을 배우게 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아마도 우리나라가 낳은 조상들 중에서 훌륭한 업적을 이룩하신 역사적 인물들을 배우고 그 인물들을 통해서 그들의 애국심과 남다른 인격을 본받는 것입니다.~
존경하는 인물을 한 사람 가슴에 품고 자라난 아이들은 가슴 속에 하나의 등대를 갖고 있는 항해사와 같습니다. 아이들의 먼 인생 항로에서 언제나 꺼지지 않는 등불이 되어 절망과 역경에 이르렀을 때도 그 앞길을 밝혀 주는 희망의 등불이 될 것입니다.(6)
'1만 명이 사는 고을에 그릇을 굽는 장인이 한 사람이라면 그릇은 부족하게 마련이고, 100명이 사는 고을에 의원이 한 사람이라면 사람 살려 내는 일에 부족하게 마련'(8)~
실패나 역경이란 하나의 시련일 뿐이다. 그것을 기회로 삼는 사람만이 자신의 삶을 빛내고, 나아가 인류사에 의미 있는 발자취를 남길 수 있이다.(9)~

~앎이 넒고 배움이 깊어서 가슴속에 커다란 포부를 갖고~(36)

능력으로 일하고 능력을 대접받아야 하는 거 아닌가. 세상은 변하고 있다. 합리적이지 못한 이런~제도가 사라지지 않는 한 ~(42)
의원이란 병자에게 희망을 주어야 하고, 병을 이려 내려는 의지를 심어주어야 한다. ~(47)

~눈에 들어오지도 않던 것들이 마음을 비우고~돌아가는 길에는 ~붙잡는 것이다.
'모든 것이 다 마음먹기에 달렸구나! 마음 한번 바꾸니......'~그렇게도 조급하고 초조하던 마음이 이젠 한가롭고 여유로워지기까지 하는 것이었다.
'지난 세월을 나는 무엇을 하며 살아왔던가.'~
지난 세월, 그것은 방황의 나날이었다.(53)~그렇게 헛되이 보낸 세월을 어찌할 것인가.(54)

~공부란 누구에게 배우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깨닫고 깨우치는 것으로~노력 여하에 달려 있...(93)~

이제마, 김자환(2002), 파랑새

Posted by 주인공을찾는아이
,

스스로 자진해서 참가하는 것이 '놀이'이며 '배움'도 그래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프로들의 시합이 재미있는 이유는 선수들이 놀면서 대충하는 것이 아니라, 보는 사람들을 위해 열심히 몸을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관객인 우리는 보기만 해도 즐길 수 있지요.

그러나 놀이는 정반대입니다. 스스로 참가해서 모두와 행동을 같이할때 비로소 놀이의 즐거움, 재미를 실감할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이 놀고 있는 모습을 옆에서 지켜보기만 해 봤자 전혀 재미가 없겠지요. 원래 아이들은 물론이고 어른들도 즐거워 보이면 스스로 적극적으로 그 속에 섞여 놀고 싶어지는 법이니까요.

역시 교육이라는 것은 아이의 능력을 점점 더 많이 끌어내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아이들은 일단 자연스럽게 무언가에 흥미를 갖게 되면 자발적으로 하고자 하는 의욕을 품게 되는 법이지요.

그런 점에서 '노는 교육'이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노는 감각으로 배울 수 있게 방향을 잡아 주는 것, 재미있어 하면서 아이가 자진해서 '한번 해 볼까'하는 마음으로 다가갈 수 있는 분위기와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것이 가능하다면, 나머지는 그냥 나눠도 아이는 자신이 생각한 방향대로 앞으로 나아갈 것입니다.

<슬로 리딩, 하시모토 다케시, 조선 books, p24~25>

Posted by 주인공을찾는아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