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0장 아리스토텔레스는 언어학의 아버지

언어는 문자(Letter), 음절(syllable), 연결사(Connection word), 명사, 동사, 어형변화(Inflection), 혹은 격(格,Case), 문장(Sentence) 혹은 구(Phrase) 등을 포함한다. 하나의 문장은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소리(Indivisible Sound)이다.~소리는 모음과 반(半)모음(semi-vowel) 또는 무음(無音, (126)mute)으로 되어 있다. ~
음절(Syllable)은 모음과 무음이 결합한 것으로, 그 자체로서는 의미가 없다.~
연결사(Connecting word)는 여러 소리를 결합시키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것이 하나의 의미 있는 말을 만들어 내거나 아니면 방해하거나 하지 않는, 그저 의미없는 소리이다. 그것은 문장의 끝이나 한 중간에 온다. 각기 의미있는 소리가 몇 개 모여 하나의 의미 있는 소리가 되기도 한다.(127)
명사(Noun)는 시간성이 포함되지 않는, 복합적이고 의미 있는 소리이다. 그 구성 요소 자체들은 의미가 없다. 
동사는 복합적이고 의미 있는 소리이며, 시간의 관념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명사가 그러했듯이 동사의 부분들도 그 자체만으로는 의미를 지니지 못한다.~
어형변화(Inflection)은 명사와 동사에 두루 속하며, of 혹은 to 같은 것을 표현한다. 혹은 man과 men처럼 하나와 다수 같은 수(數)를 표현하기도 한다. 또 혹은 말의 실질적 전(128)달 방식과 톤(modes or tones in actual delivery), 즉 질문이나 명령을 수행하기도 한다.~
하나의 문장(Sentence)이나 구(Phrase)는 복합적이며 의미있는 소리인데, 그중 어떤 부분들은 자체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 안의 모든 말이 명사나 동사는 아니고, 동사가 없어도 무방하다.~문장이나 구(句)는 두가지 방식에서 통일성이 있는데(form a unity), 첫째 한가지 일을 하거나, 둘째 몇개의 부분들이 함께 연결되는 방식에 의해서이다. (129)


제21장 은유(메타포)와 유비(아날로지)-'노년기는 인생의 황혼'은 아날로지

단어들은 단순한 것(simple)과 이중의 것(double), 두 가지 종류가 있다. 단순한 것은 earth처럼 의미 없는 요소들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중적인 것 혹은 복합적인 것(compound)은 의미 있는 요소와 의미 없는 요소가 합쳐져 있거나, 아니면 둘 다 의미 있는 요소들로 이루어진 것이다.~
모든 단어는 일상어(current), 외래어(strange), 은유(meta-phorical), 장식(ornamental), 신조어(newly-coined), 연장된 말 (lengthened), 축약된 말(contracted), 변경된 말(altered)중(130)의 하나이다.

일상어 또는 표준어(proper word)라 함은 한 고장 사람들 사이에서 통용되는 말을 뜻한다. 외래어란 다른 고장 사람들 사이에서 통용되는 언어이다. 그러므로 같은 말이 표준어이면서 동시어 외래어일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사용자에게는 표준어인 동시에 외래어일 수는 없다.
은유(隱喩, metaphor)는 전혀 이질적인 이름을 유(類)에 종(種)으로, 종에서 유로, 종에서 종으로, 또는 유비(類比), 다시 말해 비례에 따라 전환시켜 쓰는 방식이다.Metaphor is the application of an alien name by transterence either from genus to species, or form species to genus, or from species to species, or by analogy, that is, proporttion.(131)
유비(類比, analogy) 혹은 비례에 의한 은유는 첫 번째 항과 두 번째 항의 같기가 세 번째 항과 네 번째 항의 같기와 같은 경우(when the second term is to the first as the fourth to the third)이다. (132)
신조어는 보통 사람들이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시인 자신에 의해 채택되는 말이다. ~
연장된 낱말은 보통보다 모음이 길거나 다른 음절이 첨가(133)된 것이다. 축약된 낱말은 한 요소가 제거된 것이다.
변경된 단어는 정상적인 형태의 일부분은 그대로 쓰고 일부분은 고쳐 쓰는 경우이다.(134)

제22장 어법의 종류

문체의 완벽성(perfection of style)은 평범하지 않으면서 명확한 데 있다. 최고의 명확성은 일상어와 표준어를 쓸 때 얻어진다. 그러나 그것은 진부하게 될 위험이 있다.(135)~

평범하지 않으면서도 명확성을 기하는 데에는 연장, 축약, 변경만한 방법이 없다. 평범한 관용구에서 벗어나 예외적인 사례로 들어가는 것은 언어에 품위를 준다.(136)

적절한 메타포를 사용한다는 것은 유사성을 볼 줄 아는 눈을 가졌다는 것을 의미~ To make good metaphors implies an eye for resemblances.(138)

제23장 살라미스 해전과 카르타고 전쟁

서사의 형식을 갖고 있고 단일 운문으로 되어 있는 시적 모방에서 플롯은 비극에서와 마찬가지로 드라마의 원칙에 입각하여 구성되어야 한다. 주제에 있어서는 단순한 줄거리(single action)를 가져야 하고, 완전한 전체(whole and complete)이어야 하며 처음, 중간, 끝이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그것은 마치 살아 있는 생물체처럼 단일하고(living organism in all its unity) 그 특유의 즐거움을 산출해야만 한다. 그것은 구조상 역사적 구성과는 다르다.(139)

제24장 잘못된 추론

처음의 어떤 일을 보고 두 번째 일도 역시 그러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게 사람들의 자연스러운 추론이다. 사람들은 두 번째와 마찬가지로 첫 번째 일도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Assuming that if one thing is or becomes, a second is or becomes, men imagine that, if the second is, the first likewise is or becomes. 그러나 이것은 잘못된 추론(false inference, faux raisonnemet)이다. 첫 번째 것이 사실이 아니고 두 번째 것이 사실이라면 첫 번째 것이 일어났다고 덧붙일 필요도 없다. 사람들은 첫 번째 것도 사실일 것이라고 잘못 추론하기 때문이다.(144)

제25장 어떤 일이 개연성에 반하여 일어날 수 있다는 사실 또한 개연성이다.

제 26장 비극은 최고의 예술

 

<박정자(2013),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인문서재>

Posted by 주인공을찾는아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