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책에 밑줄 긋기'에 해당되는 글 5건

  1. 2022.10.08 교서관 책동무 1
  2. 2021.04.28 생물은 어떻게 진화하는가
  3. 2021.04.28 종은 어떤 기원을 갖는가?

할아버지는 글자를 가르칠 때마다 뜻을 담았다. 산은 작은 고비를 넘으면 더 큰 고비가 오고, 그것마저 넘기면 다음 고비부터는 처음보다 수월할 수 있음을 배울 수 있는 곳이라고 했다. 그래서 낮은 봉우리 두개 사이에 높은 봉우리를 그려 산을 나타낸다고 가르쳐 주었다.(p24)

"좋아하는 것을 따르고 배우는 것에 겁내지 않으면, 길을 찾을 수 (81)있단다.~같이 찾아보자.(82)"

 

김영주, 교서관 책동무(2022), 파란자전거

Posted by 주인공을찾는아이
,

5. 생물은 어떻게 진화하는가

다윈에게 종의 기원은 분명해 보였다. 개체의 차이에서 대수롭지 않은 변종이 나오며, 여기에서 더 뚜렷한 차이를 갖는 변종이, 다시 아종이, 그리고 마침내 종이 갈라져 나간다는 것이다. 다윈은 이 각각의 단계가 무지개의 스펙트럼처럼 연속성을 이루어 있음을 깨달았다. (62)

 

종의 기원, 자연선택의 신비를 밝히다(2004), 윤소영, 사계절

Posted by 주인공을찾는아이
,

4 종은 어떤 기원을 갖는가?

현재의 많은 학자들은 지능에 환경과 유전이 함께 작용한다고 본다.

지능은 '스위스 아미나이프'(흔히 맥가이버 칼이라고 한다)에 비유되기도 한다. 한 개의 케이스 속에 칼, 가위, 줄, 병따개 따위가 들어 있는 아미나이프처럼, 지능도 용도에 따라 꺼내 쓸 수 있는 언어의 지능, 사회성의 지능, 지각의 지능, 수리의 지능, 추리의 지능, 자연을 이해하는 지능 들이 따로 있다는 것이다.(55)

변종은 종의 기준 표본1)과 거의 같지만 형태의 일부나 생리•지리적 분포 등이 기준 표본의 집단과 뚜렷하게 구별되는 생물 집단을 말한다. 하지만 과학적인 분류 근거가 있다고 볼 수는 없다.

이에 대해 아종은 생물 분류에서 종보다 낮은 단계로, 같은 종은 분명하지만 지역적•시간적으로 (변종에 비해) 확실한 차이를 나타내는 무리를 가리킨다. 아종의 이름을 삼명법(三名法)을 사용한다. 속명 뒤에 종명, 그 뒤에 아종명을 적는다.(57)

 

 

종의 기원, 자연선택의 신비를 밝히다(2004), 윤소영, 사계절

1) 기준 표본이란 생물을 분류할 때 종을 정하고 확인하는 증거가 되는 표본을 말한다

Posted by 주인공을찾는아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