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날로그 시대의 기기들을 학습을 통해서만 알 수 있는 세대가 Z세대다. 진정한 디지털 네이티브이자, 모바일 네이티브인 셈이다. (16)
Z세대에게는 세상이 태어날 때부터 연결돼 있었다. ~ 스마트 디바이스는 장난감이자 학습 도구였으며, 온라인 쇼핑몰인 동시에 쇼핑 카트였고 또한 은행이기도 했다. ~'포노 사피엔스(Phono Sapiens, 스마트폰을 신체의 일부처럼 사용하는 인류)'로도 불리는 이 모바일 네이티브들은 실제로 3~4개의 다른 디바이스를 동시에 다루며 화면을 오가는 멀티태스킹이 가능하다. 반면 집중하는 시간은 다소 짧은 편이다. 세대 전문가이자 컨설턴트인 제프 프롬은 저서에서 "밀레니얼은 2개의 화면을 동시에 다루고 12초의 집중력을 가진다. 하지만 Z세대는 5개의 화면을 동시에 다룰 수 있으며 집중력 지속 시간은 8초 정도 된다."고 설명한다.1) (17)
Z세대는 모바일 네이티브 그 자체다. ~태어나보니 태어난 곳이 모바일 기반의 연결된 세상이었다는 의미다. 이들의 출생 배경과 성장과정을 이해하면, 이들이 온라인 세계를 대하는 방식을 이해(20)할 수 있다.
이들에게 온라인 ・모바일 세계는 전혀 신기하지 않다. Z세대에게는 사실 온라(21)인과 오프라인이 특별히 구분되지 않는다. 그리고 거의 모든 일상을 습관처럼 찍어서 올린다. ~그런 그들에게 지나치게 오픈된 공간은 부담스러울 수 있다. 태어날 때부터 연결된 세상에서 온라인・모바일 생활을 영위하던 Z세대에게는 자연스레 앞선 세대와 개인 정보에 대한 인식 차이도 생겨났다.
~처음으로 개인 정보 제공 동의 창에 클릭을 했던 X세대는 (한국의 초기 X세대는 이미 어린 Z세대의 부모이기도 하다)'뭐 이렇게 동의하라는 게 많아?' 정도의 생각으로 어쩔 수 없이 '클릭 클릭'하면서 자신의 정보를 내줬다면 Y세대, 즉 밀레니얼 세대는 '이걸 동의하면 내게 어떤 혜택이 있겠군'이라고 계산하면서 정보를 내줬다. 반면 Z세대는 '나한테 이걸 왜 묻지?'라고 생각한다. Z세대는 몇몇 할인 혜택을 포기하더라도, 자신의 정보를 내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Z세대에게 연결된 세상이란 단순히 인터넷으로만 연결된 세상은 아니다. 정치 경제적으로도 고도로 동조화된 세계다.(22)
Z세대는 ~ 유튜브와 각종 소셜 미디어로 연결돼 있기에, 지구 곳곳에서 일어나는 일을 자기 일처럼 느끼고 실제로 영향을 받는 상황이 됐다. ~지구 어딘가에서 일어나는 일은 이미 내가 직간접적으로 경험하고 알 수 있는 일이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은 이들 세대가 최초로 '지구인 정체성'을 갖도록 하는 데 큰 기여를 했다.(23)
Z세대가 경험한 세계는~인종, 성별, 성 정체성은 개개인의 다양성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이지 차별할 문제가 아니다. 즉 차이를 문제 삼거나 이슈화하는 것 자체가 이상한 일이 된다.(24)
이들은 기성세대가 가져 왔던 정체성과 다른 정체성을 가진 상태에서 기존의 진보・보수가 각각 추구해 왔던 평등과 자유, 분배와 성장의 이분법에 매몰되지 않고 '기회의 공정성'과 가치 추구의 '진정성'을 중심에 놓고 사고하는 경향이 있다.(25)
고승연(2020),Z세대는 그런 게 아니고, 스리체어스
1) 제프 프롬, 앤지 리드(임가영 譯), 최강소비권력 Z세대가 온다, 홍익출판사, 2018
'책에 밑줄 긋기 > Z세대는 그런 게 아니고(고승연 스리체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Z세대와 함께 일하는 법 (0) | 2021.02.13 |
---|---|
소비의 키워드: 정치적 올바름, 공정성, 진정성 (0) | 2021.02.13 |
소비의 키워드:경험과 취향 (0) | 2021.02.13 |
부모를 움직이는 세대의 소비 권력 (0) | 2021.02.13 |
프롤로그 세대론을 다룰 때 주의할 점 (0) | 2021.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