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공을찾는아이 2021. 4. 16. 06:52

제 1부 인지혁명

1 별로 중요치 않은 동물

약 135억년전~빅뱅이라는 사건이 일어나 물질과 에너지, 시간과 공간이 존재하게 되었다. 우주의 이런 근본적 특징을 다루는 이야기를 우리는 물리학이고 부른다.~원자, 분자 및 그 상호작용에 관한 이야기를 우리는 화학이라고 부른다.
약 38억년 전 지구라는 행성에~생물이 탄생한 것이다. 생물에 대한 이야기는 생물학이라 부른다. 약 7만년전, 호모 사피엔스 종에 속하는 생명체가~ 문화가 출현한 것이다. 그 후 인류문화가 발전해온 과정을 우리는 역사라고 부른다.(18)

역사의 진로를 형성하는 것은 세 개의 혁명이었다. 약 7만 년 전 일어난 인지혁명은 역사의 시작을 알렸다. 약 12,000년 전 발생한 농업혁명은 역사의 진전 속도를 빠르게 했다. 과학혁명이 시작한 것은 불과 5백 년 전이다.~이들 세 혁명은 인간과 그 이웃 생명체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을까?(19)

생물학자들은 두 개의 라틴어로 생물의 학명을 붙인다. 속이 먼저 나오고, 종은 그 뒤에 쓴다.~ 속의 상위에 있는 것이 '과family'다.~ 같은 과에 속하는 모든 동물은 동일한 선조의 후손이다. 예컨대 모든 고양이과 동물은 약 2,500만 년 전에 살았던 조상을 공유하고 있다.(21)

호모 사피엔스의 뇌는 몸무게의 2~3퍼센트를 차지할 뿐이지만, 뇌가 소모하는 에너지는 신체의 휴식 상태일 때 전체의 25퍼센트나 된다. 반면에 유인원의 뇌가 소모하는 에너지는 신체가 휴식 상태일 때 전체의 8퍼센트에 불과하다. ~뇌가 커지면서 두 가지 대가를 지불했다. 첫째, 식량을 찾아다니는 데 더 많은 시간을 썼다. 둘째, 근육이 퇴화했다.~인류는 근육에 쓸 에너지를 뉴런에 투입했다. ~

인간의 또 다른 이례적 특징은 직립보행이다.~(27)~인간은 높은 시야와 부지런한 손을 얻은 대가로 오늘날 허리가 아프고 목이 뻣뻣해졌다.~

여성은 ~아기의 뇌와 머리가 상대적으로 작고 유연할 때 일찍 출산하는 여성이 더 살아남기 쉬웠고, 더 많은 아기를 낳을 수 있었다.
그 결과 자연선택은 이른 출산을 선호했다. ~인간은 생명유지에 필요한 많은 시스템이 덜 발달된 미숙한 상태로 태어난다.(28)~인간의 아기는 무력하여, 여러 해 동안 어른들이 부양하고 지키고 가르쳐주어야 한다.
인간의 사회적 능력이 뛰어난 것도 이 덕이요, 특유의 사회적 문제를 안게 된 것도 이 탓이다.~인간은 미숙한 상태로 태어나기 때문에 교육을 받고 사회화할 수 있는 기간이 다른 어떤 동물보다 길다.(29)

피라미드의 꼭대기에 있던 다른 동물, 예컨대 사자나 상어는 수백만 년에 걸쳐 서서히 그 지위에 올랐다. 그래서 생태계는 사자나 상어가 지나친 파괴를 일으키지 않도록 견제와 균형을 발달시킬 수 있었다.~진화했으며~
이해 비해 인간은 너무나 빠리 정점에 올랐기 때문에, 생태계가 그에 맞춰 적응할 시간이 없었다. 게다가 인간 자신도 적응에 실패했다.~후진국의 독재자에 가깝다.~자신의 지위에 대한 공포와 걱정으로 가득 차 있고 그 때문에 두 배로 잔인하고 위험해졌다. 치명적인 전쟁에서 생태계 파괴에 이르기까지 역사적 참사 중 많은 수가 이처럼 너무 빠른 도약에서 유래했다.

먹이사슬의 최정점으로 올라서는 핵심단계는 불을 길들인 것이었다. 80만 년전쯤에 일부 인간 종은 가끔~ 약 30만 년 전이 되면 호모 에렉투스, 네안데르탈인, 호모 사피엔스의 조상들은 불을 일상적으로 사용했다.(31)

하지만 무엇보다도 불이 하는 최고의 역할은 음식을 익히는 일이다. 조리 덕분에, 인간이 자연 상태 그대로는 소화할 수 없는 밀, 쌀, 감자 등이 인간의 주식이 되었다.~

더욱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먹을 수 있게 되었고, 식사 시간도 줄일 수 있엇다. 더 작은 치아와 더 짧은 창자를 가지고도 그럭저럭 때울 수 있었다.~화식은 창자를 짧게 만들어서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게 해주었고, 의도치 않은 이런 변화 덕분에 네안데르탈인과 사피엔스는 커다란 뇌를 가질 수 있었다.(32)

또한 불은 인간과 다른 동물 사이에 처음으로 현격한 차이를 만들어냈다. 동물의 힘은 대개 신체에서 나온다.~
인간은 불을 길들임으로써 무한한 잠재력을 통제할 수 있게 되었다.~가장 중요한 점은 불의 힘이 신체의 형태나 구조, 힘의 한계를 뛰어넘는다는 것이었다.(33)

사피엔스의 성공비결은 무엇이었을까~가장 그럴싸한 해답은 바로 이런 논쟁을 가능하게 하는 것, 즉 언어다. 호모 사피엔스가 세상을 정복한 것은 다른 무엇보다도 우리에게만 있는 고유한 언어 덕분이다.(41)

 

사피엔스(2015), 유발 하라리, 김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