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공을찾는아이 2021. 4. 19. 07:05

7 메모리 과부화

인간의 뇌는 제국 규모의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장치로서는 훌륭하지 않은데, 주된 이유는 세 가지다.
첫째, 용량이 부족하다.(180)
둘째, 인간이 죽으면 뇌도 같이 죽는다. ~물론 한 사람의 뇌에서 다른 사람의 뇌로 기억을 전수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몇 차례 전수가 이어지고 나면 혼동과 착가이 일어나는 경향이 있다.
셋째, ~인간의 뇌는 특정한 유형의 정보만을 저장하고 처리하도록 적응했다.(181)

문서를 점토에 새기는 것만으로는 효율적이고 정확하며 편리한 데이터 처리를 보장하기에 충분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서는 목록 같은 조직화 방법, 복사기 같은 복제수단, 컴퓨터 알고리즘 같은 빠르고 정확한 검색법 그리고 이런 도구들의 사용법을 아는 박식한 체하는 사서가 필요하다.(190)

뇌에서는 모든 데이터가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
(그러나) 관료제에서는 모든 것이 분리되어 있어야 한다.

사람들은 서랍을 추가하고 지우고 재배열하는 일을 영원히 계속한다. 그런 서랍 시스템을 운영하는 사람이 제대로 기능하려면 그는 사람으로서 생각하기를 중단하고 서기나 회계사로서 사고체계를 다시 장착해야 한다.~(192)

문자체계나 인간의 역사에 가한 가장 중요한 충격은 정확히 이것, 즉 인간이 세계를 생각하는 방식과 세계를 보는 방식이 점차 바뀌었다는 점이었다. 자유연상과 전체론적 사고는 칸막이와 관료제에 자리를 내주었다.(193)

 

 

 

사피엔스(2015), 유발 하라리, 김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