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다만 책/호모루덴스(요한하위징아 연암서가)
긴장과 불확실성
주인공을찾는아이
2019. 8. 1. 10:48
결과에 대한 긴장과 불확실성은 대립적 요소가 집단 간의 아곤적 요소가 될때 더욱 커진다. 이기겠다는 열정 때문에 놀이 그 자체의 경박성은 사라져 버리기도 한다.
여기서 중요한 구분이 생겨난다. 사행성 게임에서 경기자가 느끼는 긴장은 관람자에게 희미하게 느껴질 뿐이다. 도박성 게임은 그 자체로 아주 흥미로워 문화적 탐구의 대상이지만 문화의 발전에는 별 기여를 하지 못한다. 도박 게임은 생활과 정신에 아무런 보탬도 주지 못허기 때문에 쓸모없는 것이다. 하지만 그 게임이 지식, 기량, 용기, 힘 등을 요구하는 게임이라면 사정은 달라진다. 게임이 ‘까다로울수록’ 관람자의 긴장은 높아진다.
<호모루덴스, 요한하위징아, 연암서가, 2010, p110>